티스토리 뷰
목차
728x90
반응형
사람은 자신이 그린대로 삶을 살게 된다.
사람은 자신이 그린대로 삶을 살게 된다고 한다.
그럼 부자든 가난한 사람이든 마음 먹으면 될 수 있다는 뜻인데,
왜 우리 사회에는 부자보다 가난한 사람이 많을까?
누구나 방법만 제대로 알면 꿈을 현실로 만들고 부자가 될 수 있다.
'된다'라고 마음먹고 꾸준히 정진하라
분명 바뀐 삶을 살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이 말은 송사무장의 '엑시트'에 나오는 구절이다.
오늘은 송사무장의 '엑시트에 나오는 글을 인용해 나의 생각을 더해서 부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되는지 글을 풀어보려고 한다.
여기 동일하게 5,000만원의 자본을 가지고 있고, 똑같이 월급 200만 원을 받는 A와 B 두사람이 있다.
A는 5,000만원을 전부 은행에 저축해 놓고, 생활비를 제외한 월급 역시도 매달 은행에 저축한다.
A는 통장에 차곡차곡 쌓여가는 돈을 보면서 흐뭇해하며 다음 달에는 더 아껴서 더 많이 저축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B는 은행의 대출을 활용해 , 가지고 있는 5,000만원으로 상가 한 채를 구입하기로 한다.
상가 임차인의 보증금을 받으니 대출금을 제외하고 실제 투입된 현금은 약 3,000만 원 정도다.
그 후부터 이 상가에서는 매월 100만 원 이상의 월세(대출이자를 제외한 순수익)가 나온다.
회사에서 매달 받는 월급도 있으니 A와 B가 동일한 소비를 한다고 가정했을 때 B는 은행에 의지하는 A보다 많은 금액을 모을 수 있다. 일정 금액이 모이면, 그 전에 남은 2,000만 원에 보태어 또 다른 부동산도 사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이들 둘의 1년 후 모습은 과연 어떨까?
간략하게
A와 B의 자산을 계산해보자.
현재 은행 이자율은 2%가 채 안 되지만, 2%로 계산해 보면 A가 저축해둔 5,000만 원에 대한 1년 후 이자는 100만원이 된다.
이에 더하여 200만 원의 월급을 정말 아끼고 아껴 매달 100만 원씩 저축을 했다고 한다면, 1년 후에는 1,200만 원을 모을 수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1년 후 A는 6,300만 원(원금5,000만+이자100만+월급저축1,200만)+a(월급에 대한 이자)의 자본금을 갖게 된다. 결과적으로 아끼고 아껴 약 1,300만 원을 모은 셈이다.
반면, B 역시 A와 동일하게 월급200만 원 중 매월 100만 원씩 소비했다고 가정해 보자.
그렇다면 B는 매달 월급 중에서 100만 원과 상가에서 나오는 월세 100만 월, 총200만 원씩을 모을 수 있어
1년 후에는 2,400만 원을 모을 수 있다. 그리고 저축해둔 2,000만 원에 대한 1년 후 이자는 40만 원이다.
따라서 그는 1년 후 7,440만 원(원금2,000만+이자40만+상가3,000만+월급저축1,200만+월세1,200만)+a(월급에 대한 이자)의 재산을 형성하게 된다.(3,000만 원을 투입하여 구입한 상가의 자산가치가 오르는 것은 계산에 넣지도 않았다.) 즉, 1년간 약 2,440만 원의 재산이 증가한 셈이다.
1년이 지나고부터 두 사람 사이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기 시작한다. B의 경우는 이전에 상가를 사고 남았던 2,000만 원과 자본금을 활용하여 월세를 100만 원 받을 수 있는 부동산을 추가로 구입하려고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연 A와 B의 5년 후 모습을 어떻게 될까?
비교할 수가 없을 것이다. 계속해서 돈에게 일을 시킬 B의 수익은 무궁무진하게 증가할 테니 말이다.
(이상 송사무장의 '엑시트'에서 인용함)
여기에서 부자가 되는 방법을 알고 있는 사람과 막연히 저축만 하는 사람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 같다.
물론 대다수의 사람들은 성실하게 일하고 은행에 꾸준히 저축을 한다. 그러면 언젠가는 부자가 되겠지 막연히 생각하면서.
여기서 부자의 인싸이트를 엿보면 부자가 되려면 투자를 하라는 것이다. 투자의 종류에는 주식, 부동산, 채권 등이 있지만, 주식은 변동성이 너무 크고 시장이 언제 폭락하는지 알 수가 없다.
채권은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것 같고.
부동산이 변동성이 크지 않고, 물론 상승 하락 사이클은 있으나, 어느정도 예측이 가능하고 실물로서 눈에 보이고 등등
이제 우리는 부동산 투자를 열심히 공부하여, 우리 사회에 가난한 사람보다 부자가 더 많았으면 좋겠다.

728x90
반응형
'여행 콘텐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책은 돈 버는 법에 관한 이야기' 속의 행복의 비결 (2) | 2023.11.13 |
---|---|
손에 쥔 것을 놓아라. (2) | 2023.11.09 |
요즘 핫한 경매에 참여해 볼까요? (1) | 2022.10.03 |
건강보험료 아끼기 -퇴직하셨다면? 지역가입자라면? (1) | 2022.09.30 |
[전세사기 피해 방지방안] 후속조치 (국세분야) (1)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