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728x90
반응형
🌧️ 폭우와 산사태 대비 안전 수칙
최근 전국적으로 폭우가 잦아지면서 산사태, 침수, 낙석 등의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강원도, 경기 북부, 충청권 등에서는 급작스러운 뇌우와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래는 폭우와 산사태로 인한 재난을 예방하고, 위급 상황에서 생명을 지키기 위한 실천 가능한 안전 수칙입니다.
1. 기상 정보 및 특보 확인
- 기상청 및 행정안전부, 지자체의 재난 문자 및 특보를 수시로 확인하세요.
- 산사태 취약지역에 대한 경보가 발령되면 즉시 대피 준비를 시작해야 합니다.
- 특히 야간에는 실시간 정보를 놓치지 않도록 휴대폰 알람 기능을 활용하세요.
2. 야외 활동 자제
- 폭우가 예보된 날에는 가급적 외출을 삼가고, 불필요한 이동을 줄이세요.
- 산, 계곡, 하천 주변은 급류나 산사태 위험이 높으므로 절대 접근하지 마세요.
- 캠핑, 등산 등은 폭우 기간 동안 철저히 금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3. 집 주변 사전 정비
- 배수로, 하수구, 옥상 물받이 등을 미리 정비하여 물이 잘 빠질 수 있게 하세요.
- 흙더미, 낙석이 있는 경사면 주변은 미리 점검하여 위험 요소를 제거합니다.
- 비닐하우스나 가설 건축물 등은 고정상태를 점검하고 보강하세요.
4. 대피 계획 및 비상용품 준비
- 가족과 함께 대피 장소 및 이동 경로를 사전에 정하고 공유하세요.
- 비상용품(손전등, 응급약, 물, 식량, 휴지, 우비, 휴대폰 충전기 등)을 미리 준비해 두세요.
- 반려동물과 함께 대피해야 하는 경우를 대비해 사료, 이동장도 함께 준비합니다.
5. 산사태 징후 인지
- 지면 균열, 수목 흔들림, 지하수 솟아오름, 갑작스러운 물의 흐름 변화 등이 있다면 즉시 고지대로 이동하세요.
- 특히 계곡이나 경사진 곳, 절개지 인근은 항상 산사태 위험이 존재합니다.
- 산사태 징후 발견 시 119 또는 주민센터 등에 즉시 신고하세요.
6. 차량 이동 시 유의사항
- 침수 도로, 터널, 지하차도는 절대로 진입하지 마세요.
- 운전 중 도로 위 낙석이나 유출물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 차량이 침수될 경우 문이 열리지 않을 수 있으므로 즉시 탈출 요령을 익혀두세요.
7. 대피 시 행동 요령
- 대피 전에는 가스 밸브, 전기 차단기를 반드시 확인 후 이동하세요.
- 장애인, 노약자, 어린이 등 취약계층과 함께 이동 시 도움을 요청하세요.
- 대피소에서는 방역 수칙(마스크 착용, 거리두기)도 함께 지켜주세요.
8. 복귀 시점 판단
- 지자체, 소방당국, 기상청의 공식 통보가 있기 전까지는 귀가하지 마세요.
- 집에 돌아간 후에도 균열, 누수, 전기 이상 등을 철저히 점검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준비와 실천이 우리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습니다. 재난은 예고 없이 찾아오지만, 대비는 지금부터 시작할 수 있습니다. 가족과 이웃의 안전까지 함께 챙겨주세요.
긴급 상황 시 연락처: 119 (소방), 112 (경찰), 120 (지자체 다산콜센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