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2023년 개봉한 한국 재난 드라마 영화로, 동명의 웹툰 <유쾌한 왕따>의 후속작 <유쾌한 이웃>을 원작으로 한다. 대지진 이후 서울의 아파트 단지에서 벌어지는 생존자들의 갈등과 권력 싸움을 그린 작품으로, 배우 이병헌, 박서준, 박보영 등이 출연했다. 극한 상황에서 변화하는 인간성과 사회 질서를 심도 있게 탐구한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국내외에서 호평을 받았다.
영화 정보 및 개요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엄태화 감독이 연출하고, 클라이맥스 스튜디오가 제작한 재난 스릴러 영화다. 대한민국을 덮친 대지진 이후 유일하게 남아있는 황궁아파트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 제목: 콘크리트 유토피아
- 감독: 엄태화
- 각본: 엄태화, 이신화
- 원작: 김숭늉 웹툰 <유쾌한 이웃>
- 장르: 재난, 드라마, 스릴러
- 개봉일: 2023년 8월 9일
- 러닝타임: 130분
- 배급사: 롯데엔터테인먼트
- 출연진: 이병헌, 박서준, 박보영, 김선영, 박지후, 김도윤 등
줄거리: 폐허 속에서 태어난 새로운 질서
서울 전역을 초토화시킨 대지진 이후, 유일하게 무너지지 않고 남아있는 황궁아파트에는 주민들과 외부 생존자들이 몰려든다. 그러나 제한된 자원과 불안한 환경 속에서 아파트 내부에서도 점차 갈등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황궁아파트는
대지진이 일어나고 모든 건물이 붕괴된 가운데에서 유일하게 멀쩡한 아파트이다. 유일하게 멀쩡한 주거지인 이곳을 두고 아파트 주민들과 외부인들의 싸움이 계속된다. 아파트는 지어진지 20년도 넘었지만 서울에서 제법 살만한 아파트이다. 황궁아파트의 옆 단지인 드림팰리스 주민들이 황궁아파트 주민들을 단지에 발도 못 붙이게 하고 배척했다는 것 때문에 주요 외부인들인 드림팰리스 주민들과 서로 적대적인 관계가 된다.
결국 아파트 주민들은 외부인들을 차단하고 내부 사람들끼리만 살아남기로 결정한다. 그 과정에서 영석(이병헌)이 주민들의 신뢰를 얻으며 리더가 된다. 영석은 처음에는 아파트를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모든 결정을 하였지만, 점점 더 독재적인 결정을 내리며 주민들을 통제하기 시작한다.
외부 생존자들이 아파트에 들어오려 하면서 상황은 더욱 긴박해진다. 주민들은 "우리끼리만 살아남아야 한다"는 논리로 외부인을 거부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내부에서도 반대 의견이 나오기 시작한다. 결국 내부에서도 권력 다툼이 일어나고, 인간성마저 사라지는 극한 상황이 펼쳐진다.
주요 등장인물
- 영석(이병헌): 아파트의 리더로서 점점 독재적인 성향을 띠게 된다.
- 민성(박서준): 재난 전 평범한 직장인이었으나, 생존 과정에서 점점 변화하는 인물.
- 명화(박보영): 민성의 아내로, 남편과 아파트 내부의 변화에 불안을 느낀다.
- 금애(김선영): 주민 대책 위원회의 일원으로, 영석의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 혜원(박지후): 부모를 잃고 홀로 살아남은 소녀.
흥행 성적 및 평가
국내 흥행 성적
- 개봉 첫 주 박스오피스 1위
- 누적 관객 수 약 380만 명 돌파
- 한국 영화로서는 드문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의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
해외 성적 및 반응
- 2023년 토론토 국제영화제 공식 초청
- 2024년 아카데미 시상식 국제장편영화 부문 한국 대표 출품
- 미국, 유럽, 일본 등 해외 개봉 후 호평
- 로튼 토마토 지수 85% 기록 (비평가 평점 기준)
국내·해외 반응
국내 반응
- "이병헌의 연기가 압도적이었다."
- "재난 영화지만 단순한 생존 스토리가 아니라 인간 본성을 깊이 있게 탐구했다."
- "박서준과 박보영의 연기력도 뛰어났지만, 캐릭터 간의 갈등이 너무 현실적이라 무서웠다."
해외 반응
- 미국: “기생충 이후 한국 영화의 또 다른 마스터피스.” (버라이어티)
- 유럽: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에서 드물게 인간성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진다.”
- 일본: “재난 상황 속에서 변해가는 인간의 모습을 깊이 있게 그려냈다.”
결론: 생존과 인간성의 경계를 탐구한 걸작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단순한 재난 영화가 아니라, 극한 상황 속에서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이병헌의 강렬한 연기, 박서준과 박보영의 섬세한 감정 표현이 돋보이며, 국내외에서 호평을 받은 만큼 앞으로도 한국 영화의 중요한 작품으로 남을 것이다.